목록개발 (17)
일모도원(日暮途遠) 개발자
SSH란 Secure SHell의 약자로 개인키와 공개키를 만들어서 서버에는 공개키를 저장해두고, 내 컴에는 개인키를 저장해두고 서버에 접속할때는 개인키와 공개키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걸 말한다. 귀찮게 왜 개인키와 서버키를 만드냐고, 어짜피 개인키도 텍스트파일이고 개인키를 잃어버리면 보안의 위험이 있는건 패스워드 방식과 똑 같지 않냐는 말을 들은적이 있다. 왜 SSH가 Password보다 나은 점을 살펴보자. 비번은 외울수 있지만 SSH의 Private key는 외우는게 불가능하다. 아래 Private key가 외워지겠는가? (즉 비번은 한번 힐끗보고 외워서 훔쳐가는게 가능하지만, 개인키는 불가능하다) 비번은 여러싸이트에서 가능하면 같은걸 쓸려고 한다. 왜냐하면 각 싸이트마다 다른 비번을 걸어두면..
가끔 로컬에 새로 저장소를 만들고 서버에 있는 저장소를 받아와서 넣고 싶을때가 있다. 나의 경우 서버와 로컬에 dalnim이라는 브랜치가 있다. 근데 로컬에 있는 dalnim branch가 좀 꼬여서 그냥 지워버리고 서버에서 다시 받아왔다. 로컬에 있는 dalnim 브랜치 지우기. "-d" 처럼 소문자 옵션으로는 안지워져서 대문자 "-D"로 강제로 지워버렸다. > git branch -D dalnim 그다음에는 서버(origin)에 있는 dalnim브랜치를 로컬의 dalnim브랜치로 fetch를 해온다. (로컬에 dalnim브랜치가 없어도 자동생성 된다) > git fetch origin dalnim:dalnim 그다음에 dalnim브랜치를 checkout해서 log를 보면 정상적으로 서버의 브랜치를 가..
GitHub에서는 더이상 계정(計定, account)의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토큰을 발행해서 사용하게 한다. 그래서 토큰을 발행해서 사용하고 있었다. 근데 오늘 pull을 할려고 해보니 아래처럼 계정과 비번(秘番, password)을 물어본다. 계정과 비번을 입력하니, 21년 8월 13일부터 비번에 의한 인증 (認證,authentication)은 지원하지 않는다고 나온다. Username for 'https://github.com': ~~~~~~ Password for 'https://~~~~~~~~@github.com': remote: Support for password authentication was removed on August 13, 2021. remote: Please see https..
작업중인 소스를 저장할려면 git commit명령어를 쓰면 된다. 그전에 변경된 파일이 먼저 알려면 status 명령어를 사용하자. > git status 여기서는 수정된 파일이 하나만 있다. 수정된 내용을 볼며련 diff 명령어를 사용하자 > git diff 소스상에서 변경된 내용을 보여준다. 저장할 파일을 add하자. 보통 모든 파일을 add하기 위해 *를 사용한다. > git add * 그냥 commit 명령어를 치고 변경내용을 적으면 된다. > git commit 변경내용을 저장한후에는 "ESC"를 누르고 ":"를 타이핑 한후에 저장할려면 "wq" (Write and Quit), 저장하지 않고 나올려면 "q"(Quit) 또는 "q!" (변경된 내용이 있어도 무시하고 나옴)을 치면 된다. 변경내역이..
변경중인 소스를 임시로 저장하고 이전 상태로 되 돌려야 할때가 있다. 이때는 stash명령어를 사용하자. > git status 명령어로 현재 변경된 파일을 확인해보자. > git stash 명령어를 치면 현재 작업중인게 저장되었다고 나온다. "git stash push"와 동일한 명령어다. WIP는 Work In Progress로 "진행중인 작업"이나 그냥 "작업중"으로 보면 된다. 임시저장한후에 status로 보면 Commit할게 없다고 나온다. > git stash - 로 stash관련 명령어를 볼수 있다 > git stash list 를 치면 임시 저장된 리스트가 나온다. 맨위가 최신 데이타이다. 임시저장한 것을 원복시킬려면 git stash pop 또는 git stash apply stash를 ..
Magnet의 뜻은 자석(磁石) 이다. 영어 발음기호를 보면 알겠지만, "매그넛"이라 발음한다. (하지만 마그넷이라 발음하는 사람도 많다) 영어에서는 앞에 나오는 a를 "아"가 아닌 "애"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Android는 "앤드로이드"라고 원어민들을 발음한다. (안드로이드도 틀린건 아니다. 다만 "안"을 조금 강조해서 하는 발음처럼 들린다) 보통 토렌트(Torrent, 급류) 파일을 다운받을때 마그넷 주소를 복사하여 토렌트 프로그램에 주소 추가란에 추가하여 사용한다. 아래는 NAS로 많이 쓰는 시놀로지 나스의 Download Station에서 파일을 다운받고 할때 마그넷 주소를 넣는 화면이다. 마그넷 주소를 조금 더 상세하게 보자. 마그넷 표시종류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대한민국에서는 마그..
이문제는 보통 Mac과 Window간의 파일을 공유할때 파일명에서 많이 발생한다. 난 TMDB라는 영화싸이트의 API에 영화제목을 URL인코딩하여 넘겨주고 영화정보를 받아올때 이문제가 발생했다.영화제목에 한글이 들어있으면 영화정보를 못 받아왔다.이는 한글 URL인코딩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그렇다. NFC로 정규화해서 보내야 하는데 NFD로 보내서 그렇다. Mac OS 에서는 "기생충.srt" 라고 이름을 지으면, 내부적으로 "ㄱㅣㅅㅐᆼㅊㅜᆼ.srt" 로 한글을 자음과 모음을 분리한 유니코드로 저장해 놓고 이것을 보여줄 때 "기생충.srt" 이라고 조합해서 보여준다.반면 Windows 에서는 "기생충.srt"이라고 파일명을 지으면 실제로 "기생충.srt"으로 조합된 글자의 유니코드를 저장한다. 즉 ..
마우스 커서 할때 커서는 영어로 Cursor이다. 근데 마우스(Mouse)는 쥐라는건 알겠는데 커서가 무슨 뜻일까? 미국인 더글러스 엥겔바트(Douglas Engelbart)가 1968년에 마우스를 발명할때 화면에 보이는 마우스의 위치를 커서라 명명(命名)하였다. 위키에 따르면 Cursor의 어원(語源, Etymology)은 라틴어로 Runner이라고 한다. 원래는 커서는 계산자(計算자, slide rule)에서 좌우로 움직(Run?)이면서 현재위치를 나타내는걸 말한다. 영어권 사람들이 보면 아주 적절하게 응용한 이름같다. DataBase에 쿼리결과를 받아와서 루프를 돌면서 한줄한줄 처리할때도 커서라는 용어가 나온다. 위 계산자 이미지의 커서를 보면 더 명확하게 와 닫는다. ※ 참고로 자(Ruler)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