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99)
일모도원(日暮途遠) 개발자
스위프트에는 ~= 라는 특이한 연산자가 있다. 범위 연산자(영어 이름은 Expression Pattern 인거 같다)라고도 하는데 특정 값이 어떤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알려준다. "범위 ~= 특정 값"의 형태로 사용하며 결과는 Bool값으로 반환 된다. 아래 예를 보면 0...10 ~= 5 는 5가 0~10사이에 있으므로 결과는 true이다. 0...10 ~= 20 은 20이 0~10사이에 없으므로 결과는 false이다. let arrayA = 0...10 let a = arrayA ~= 5 let b = arrayA ~= 10 let c = arrayA ~= 20 print("result a : \(a)") //true print("result b : \(b)") //true print("result ..
TestFlight로 앱을 올리는 중에 BGTaskSchedulerPermittedIdentifiers 에러를 만났다. App Store Connect Operation Error Missing Info.plist value. The Info.plist key 'BGTaskSchedulerPermittedIdentifiers' must contain a list of identifiers used to submit and handle tasks when 'UIBackgroundModes' has a value of 'processing'. For more information, refer to the Information Property List Key Reference at https://develop..
작업중인 소스를 저장할려면 git commit명령어를 쓰면 된다. 그전에 변경된 파일이 먼저 알려면 status 명령어를 사용하자. > git status 여기서는 수정된 파일이 하나만 있다. 수정된 내용을 볼며련 diff 명령어를 사용하자 > git diff 소스상에서 변경된 내용을 보여준다. 저장할 파일을 add하자. 보통 모든 파일을 add하기 위해 *를 사용한다. > git add * 그냥 commit 명령어를 치고 변경내용을 적으면 된다. > git commit 변경내용을 저장한후에는 "ESC"를 누르고 ":"를 타이핑 한후에 저장할려면 "wq" (Write and Quit), 저장하지 않고 나올려면 "q"(Quit) 또는 "q!" (변경된 내용이 있어도 무시하고 나옴)을 치면 된다. 변경내역이..
변경중인 소스를 임시로 저장하고 이전 상태로 되 돌려야 할때가 있다. 이때는 stash명령어를 사용하자. > git status 명령어로 현재 변경된 파일을 확인해보자. > git stash 명령어를 치면 현재 작업중인게 저장되었다고 나온다. "git stash push"와 동일한 명령어다. WIP는 Work In Progress로 "진행중인 작업"이나 그냥 "작업중"으로 보면 된다. 임시저장한후에 status로 보면 Commit할게 없다고 나온다. > git stash - 로 stash관련 명령어를 볼수 있다 > git stash list 를 치면 임시 저장된 리스트가 나온다. 맨위가 최신 데이타이다. 임시저장한 것을 원복시킬려면 git stash pop 또는 git stash apply stash를 ..
회사와 집에서 왔다갔다하면서 개발하다보면 가끔 "Bridging-Header.h" 오류가 날때가 있다. 실제로 Bridging-Header.h 파일이 제대로 있어도 에러가 날때는 스킴(Scheme)을 제대로 선택했는지 확인해보자. 나는 실행할려던 앱이 아니라 이렇게 선택되어 있었다. 이를 내가 실행할려는 앱으로 선택한후에 Run을 하면 이상없이 잘 진행되었다.
맥자체에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화면캡쳐를 지원해준다. (전체화면이 아닌 경우 마우스 커서는 포함할수 없다. 다른 캡쳐툴을 쓰던지하자) 전체화면 캡쳐 (마우스커서도 포함된다.) Shift + Comman + 3 를 누르면 바로 "철컥"같은 효과음과 함께 캡쳐하여 클립보드에 저장된다. 구역설정후 캡쳐 (마우스 커서는 포함안된다. 옵션으로라도 좀 포함할수 있게 해주라 애플아!!!) Shift + Comman + 3 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마우스 커서가 변한다.(crosshair라 부는다.) 마우스를 클릭한 상태로 드래그하여 영역을 설정후 마우스를 놓으면 "철컥"같은 효과음과 함께 선택된 영영이 캡쳐되어 클립보드에 저장된다. (드래그중 캡쳐를 취소할려면 ESC키를 누르면 된다) 윈도우만 캡쳐하기 Shift + C..
버전코드와 버전이름을 올려준다. “버전코드”는 GooglePlay 에 공개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이전 보다 높으면 앱을 갱신하한다. 정수형으로 보통 1 로 시작해서 2, 3, 4 와 같이 업데이트 될 때마다 증가시켜 준다. “버전이름”은 버전코드와 달리 유저가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 앱 갱신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역시 갱신할때마다 올려주는게 좋다. Build - Generate Signed Bundle / APK...를 선택한다. 요즘은 APK보다 App Bundle로 많이 한다. (용량이 더 작아진다) jks파일은 잃어버리면 안되니 백업을 잘해두자. 제출하고자 하는 Build Variant를 선택한다. 구글플레이에 제출할려면 Release를 선택해야 한다. 빌드가 끝났으면 우측하단에 메시지가 뜬다. ..
Magnet의 뜻은 자석(磁石) 이다. 영어 발음기호를 보면 알겠지만, "매그넛"이라 발음한다. (하지만 마그넷이라 발음하는 사람도 많다) 영어에서는 앞에 나오는 a를 "아"가 아닌 "애"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Android는 "앤드로이드"라고 원어민들을 발음한다. (안드로이드도 틀린건 아니다. 다만 "안"을 조금 강조해서 하는 발음처럼 들린다) 보통 토렌트(Torrent, 급류) 파일을 다운받을때 마그넷 주소를 복사하여 토렌트 프로그램에 주소 추가란에 추가하여 사용한다. 아래는 NAS로 많이 쓰는 시놀로지 나스의 Download Station에서 파일을 다운받고 할때 마그넷 주소를 넣는 화면이다. 마그넷 주소를 조금 더 상세하게 보자. 마그넷 표시종류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대한민국에서는 마그..